자유게시판

pi node 정리

작성자 정보

  • 양부장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PI NODE를 위한 여러가지 테스트를 진행하며 남기는 개인기록 입니다.

 

1. 파이 노드프로그램은 폰의 파이프로그램과 연동.
그리고 도커의 파이컨테이너와 연동되어 컨테이너의 상태확인 및 제어.

 

2. 도커데스크탑 설치 시 도커가 WSL2 및 하이퍼바이저를 사용하면 호스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사용 안함.

별개의 WSL 네트워크인터페이스를 사용.
그런데 컨테이너 내부로 진입하여 curl통신이나 apt명령 시 timeout 현상 발생.

확인 결과 WSL1은 호스트 의존성이 높고, WSL2는 도커를 가상화로 만드는 느낌?

파이노드는 가상화용도가 아닌 서비스용도이므로 호스트자원을 뽑아먹기 위해 WSL1으로 시도.

 

3. 파워쉘에서 wsl 버전을 1로 맞추고, 도커를 재설치.

도커 설치 시 wsl2에 하이퍼바이저에 대한 체크 해제.

하지만 파이 컨테이너 시작 시 postgresql 부분에서 문제발생.
컨테이너볼륨에 대한 공유문제도 발생.
볼륨의 공유문제와 postgre와 연관성 있을 수 있음.
귀찮아서 바로 포기.

 

4. 리눅스에서 wine을 이용하여 파이노드 설치. 노드프로그램으로 폰연동 이상없음.

그리고 도커컨테이너도 정상적으로 시작. 블록도 정상적.

외부에서 포트체크결과 31401과 31403이 열리지 않음.

확인 결과,

도커내부의 8000포트는 horizon => 31401

도커내부의 1570포트는 webfs(히스토리용 초경량 웹서버) => 31403

도커내부의 31402포트는 스텔라코어 => 31402

 

5. 일단은 31402만 열린 상태로 노드운영 시작.

 

결과는 나중에...

 

50ccaa5798c9ca2fc3b4ddbdb4eb0ce7ea5ba835bro9.png

 

e4f8c1f03e986fb445656d7d55bf6a8be8fff80dni6r.png

 

AppData/Local/Programs/pi-network-desktop/resources/app.asar
파일수정 (첨부파일)

node_modules/node-os-utils/lib/drive.js
-- return exec('df -kP').then(function (out) {
++ return exec('LC_ALL="en_US.UTF-8";LANG="en_US.UTF-8";LANGUAGE="en_US:en";df -kP')().then(function(out) {
node_modules/node-os-utils/lib/exec.js

-- cp.exec(runCommand, { shell: true }, function (err, stdout, stderr) {
++ cp.exec('LC_ALL="en_US.UTF-8";LANG="en_US.UTF-8";LANGUAGE="en_US:en";'+command, { shell: true }, function (err, stdout, stderr) {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14 / 1 페이지
RSS
번호
제목
이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