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xmox VE & 가상화

Proxmox VE(PVE)를 ISO로 설치 하였을때, 파티션 구조 설명.

작성자 정보

  • 양부장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먼저 fdisk 정보를 보겠습니다.
8666e701d500776b255535839f41c92bb6af9ba1simg.png

그림과 같이 fdisk 정보를 보시면,

sda1 : 1메가 ,

sda2 : 512메가,

sda3 : 698기가(디스크나머지용량) 이며,
sda1는 MBR(Legacy) 부트파티션,

sda2는 EFI(UEFI) 부트파티션 이란걸 알 수 있습니다.

sda3가 OS영역 파티션이죠. 그런데 파티션 종류가 LVM입니다.
결국 Proxmox VE OS는 LVM파티션 위에 구성되었습니다.

 

그럼 LVM파티션구조를 살펴보겠습니다.bcc3e4cef0f39f625e3e494e23909a4cf2e7dcc9t1br.png

lvs명령어를 사용하면 그림과 같은 결과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설명을 드리면,

pve/data(VG/LV)는 LVM Thin Pool 입니다.

pve/root(VG/LV)는 / (루트) 볼륨 입니다.

pve/swap(VG/LV)은 swap 볼륨 입니다.

vm-132-disk-0는 132번 VM의 첫번째 디스크에 대한 논리적인 볼륨이며, 위치는 data라는 Pool안에 있는걸 확인 할 수 있습니다.

132번 VM의 디스크사이즈는 120GB이지만, 씬프로비저닝(Thin Provisioning) 기술을 사용하여 실제는 훨씬 작은 용량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vm-133-disk-0도 마찬가지 입니다.

 

그럼 lvdisplay명령으로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LVM Thin Pool인 pve/data(VG/LV) 입니다.
b1af68addfa45a5e394ca0efc146d5abcd731cd7qfct.png

그림처럼 LVM Thin Pool의 경우 노랑색처럼 특징적인 항목이 있습니다.

 

다음은 LVM의 / (루트)볼륨인 pve/root(VG/LV)를 보겠습니다.
5d25f83c4a83047b4cfe6f0d1b51493423904a51b7rg.png

 

마지막으로 132번 VM의 첫번째 디스크볼륨인 pve/vm-132-disk-0를 보겠습니다.2590a7cd5e2ad03cac16c7965579f33894f79fc9l2xr.png

이렇게 노랑색 특징이 확인 가능합니다.

 

지금까지 설명을 정리를 하겠습니다.

Proxmox VE (PVE)를 ISO로 설치하면,

디스크가 sda1, sda2, sda3 이렇게 3개의 파티션으로 구성되고,

sda1는 1메가 MBR(Legacy) 부트파티션

sda2 는 512메가 EFI(UEFI) 부트파티션

sda3 : 698기가(디스크나머지용량) LVM파티션이며,

LVM은 다시

96기가 / (루트) 볼륨

8기가 swap 볼륨

566기가(LVM파티션의 나머지용량) data란 이름의 LVM Thin Pool로 구성이 됩니다.

 

그리고 data란 이름의 LVM Thin Pool은 다시

씬프로비저닝 기술을 이용한 가상머신의 DISK의 vm-132-disk-0란 볼륨, vm-133-disk-0란 볼륨을 가지게 됩니다.

 

저는 이런경우 즐겨쓰는 명령어가 있는데 lsblk 입니다.

아래와 같이 나타납니다.
c48358ac7c90bbd885227a707aef7c3c1804f23dt4va.png

 

LVM Thin Pool에 관한 정보를 보고 싶으면 아래와 같이 WebUI로 확인 가능합니다.678ad73ce2c1458c3605094b2594285f8eddd0c4r92d.png

 

지금까지 제가 실운영중인 서버 기준으로 설명드렸습니다. 감사합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7 / 1 페이지
RSS
번호
제목
이름